카테고리 없음
월세 계약서 작성법-“월세 계약할 때 꼭 써야 하는 한 줄, 안 쓰면 무조건 손해!
패패의 패션
2025. 5. 1. 12:34
월세 계약서 작성법
– 임대차 분쟁 피하려면 꼭 알아야 할 필수 체크리스트
❝ 계약서? 부동산에서 써주니까 그냥 사인하면 되는 거 아냐? ❞
많은 분들이 계약서 작성은 부동산의 몫이라 생각합니다.
하지만 그게 큰 오산입니다.
✔️ 계약서 하나 잘못 써서,
✔️ 수리비, 관리비, 계약 해지 문제로 분쟁 발생!
이런 일이 생각보다 정말 많습니다.
월세 계약서 작성은 단순 서류가 아니라, 내 돈과 권리를 지키는 무기입니다.
지금부터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월세 계약서 작성법을 알려드릴게요.
✅ 월세 계약서 작성 전 필수 확인사항
1️⃣ 등기부등본 확인 – 이 사람이 진짜 주인인가?
- 계약서에 나오는 ‘임대인’ = 등기부등본 소유자와 일치해야 함
- 만약 대리인이라면 인감증명서 + 위임장 필수!
👉 등기부등본 보는 법 자세히 보기
2️⃣ 계약 내용 핵심 항목
항목 체크 포인트
임대차 목적물 | 주소 + 동호수 정확히 |
보증금 | 정확한 액수, 숫자·한글 병기 |
월세 | 매월 ○일 납부, 지연 시 지체상금 명시 |
계약 기간 | 통상 2년 / 자동갱신 여부 기재 |
관리비 | 포함 항목 구체적으로 기재 (예: 수도, 인터넷 등) |
수리 책임 | 고장 시 어느 쪽 부담인지 특약에 명시 |
3️⃣ 특약사항은 꼭 ‘글로’ 남기세요
- 예: “에어컨 수리는 임차인이 부담”
- 예: “도배 후 입주, 벽지 이의 없음”
📌 구두 약속은 법적 효력 거의 없음 혹은 증빙이 어려움 → 계약서 내 기재해야 효력 발생
월세 계약서 작성 요령
1. 계약서 양식은?
- 한국공인중개사협회 표준임대차계약서 추천
- 직접 작성 시에도 부동산 표준서식 기반으로 작성 권장
2. 서명은 누구의 것이어야 하나요?
- 임대인/임차인 본인 직접 서명
- 대리인일 경우 위임장 + 인감증명서 제출
- 간혹 임대인이 법인인 경우 법인인감 날인 필수
3. 계약서 작성 후 해야 할 일
- 전입신고: 주민센터에서 전입신고 (세입자 권리 확보)
- 확정일자 받기: 전세/월세 모두 확정일자는 ‘보증금 보호용’
- 영수증 챙기기: 계약금, 잔금 입금내역은 반드시 보관
이런 상황, 특약 없으면 분쟁 납니다
- 퇴거 시 벽지, 바닥 훼손 수리비 누가 부담?
- 월세 연체 시 강제퇴거 가능한가?
- 에어컨, 세탁기 등 옵션 고장 시 누구 책임?
특약란에 구체적으로 기재하면 방지 가능!
함께 읽으면 좋은 글
👉 전세계약 시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10가지
👉 임차권등기명령이란? 이사하면서 보증금 지키는 방법
👉 중개수수료(복비) 얼마까지가 정상인가요? 기준표 확인하기
한마디
월세 계약서 작성은 단순한 서류 작성이 아닙니다.
작은 내용 하나가, 나중에 수백만 원 손해를 부를 수도 있습니다.
오늘 알려드린 내용대로만 체크하신다면,
절대 당하지 않고, 당당한 임차인이 되실 수 있습니다.